개미는 페로몬으로 길을 찾는다. 처음 가보는 길이더라도 동료들이 남긴 페로몬을 따라 먹이가 있는 곳까지 찾아간다. 뿐만 아니라 시간의 흐름에 따라 효율적으로 짧은 길을 찾아낸다. 개미가 지름길을 찾아낼 수 있는 것은 먼 거리의 경로 보다 짧은 거리의 경로에 상대적으로 같은 시간 안에 통과하는 개미가 더 많게되고, 더 많은 페로몬이 누적되기 때문이다. 아래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개미가 짧은 길을 찾아내는 과정을 나타낸 그림이다. 장애물이 처음 나타났을 때 장애물을 돌아가는 양쪽 길 중 하나를 같은 확률로 선택한다면 더 짧은 경로에 더 많은 개미가 통과하게 되고 따라서 더 많은 페로몬이 누적되게된다. 시간의 흐름에 따라 긴 경로의 페로몬이 증발량이 누적량보다 많아지게 되면 점점 긴 경로를 선택하는 개미는 줄..
Optimization
2016. 4. 27. 07:49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CTSP
- Meta Heuristic
- Ant Colony Optimization
- k-opt
- Best Insertion
- Lin–Kernighan
- Lyars Paradox
- K-Mean
- CPLEX
- Code Jam
- Height of Tree
- Ant Colony System
- v-opt
- divisibility
- heuristic
- codejam
- TSP
- Mathematical Modeling
- Clustering
- Ant System
- Visual Studio
- Convex Hull Insertion
- Convex
- 개미 집단 최적화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6 | |
7 | 8 | 9 | 10 | 11 | 12 | 13 |
14 | 15 | 16 | 17 | 18 | 19 | 20 |
21 | 22 | 23 | 24 | 25 | 26 | 27 |
28 | 29 | 30 |
글 보관함